“新JLPT란?”
일본어를 모국어를 하지 않는 전 세계의 수험자를 대상으로 한 국제 공인 시험으로, 기존 JLPT시험의 출제기준과 유형을 개정하여 2010년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新일본어능력시험(新JLPT)을 말합니다. 일본어 시험강좌에 등록하시는 모든 수강생에게는 2010년 새롭게 개정되는 JLPT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전 세계 최초로 담은 <新 JLPT 공략법>을 드립니다.
새롭게 개정된 사항 :
과제 수행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측정
일본어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과 함께 실제로 운용할 수 있는 일본어 능력을 중시합니다. 따라서 문자, 어휘, 문법 등과 같은 언어지식과 더불어, 그 언어지식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상의 과제 수행 능력을 측정합니다. 수험자가 자신이 취득한 급수에 비례하는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겸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되었습니다.
레벨을 4단계에서 5단계로 수정
新시험에서는 레벨을 현행 시험 4단계(1급~4급)에서 5단계(N1~N5)로 증설하였고, 新시험과의 비교 레벨은 아래와 같습니다. 크게 변경된 사항은 기존 시험의 2급과 3급 사이에 N3라는 레벨을 신설한 것입니다.
N1 | 기존 시험 1급보다 약간 높은 레벨, 합격기준은 기존 시험과 거의 같음 |
N2 | 기존 시험 2급과 거의 같은 레벨 |
N3 | 기존 시험 2급과 3급 사이의 레벨(신설) |
N4 | 기존 시험 3급과 거의 같은 레벨 |
N5 | 기존 시험 4급과 거의 같은 레벨 |
상대평가제 도입
新시험에서는 상대평가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성적 산출 시 난이도를 반영합니다. 따라서 정답수가 같더라도 시행시기에 따라 시험간의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Can-Do 리스트 제공
新시험에서는 각 레벨의 합격자가 일본어를 사용하여 실제로 어떠한 언어 운용 능력을 가지고 있는 지에 관하여, 코멘트 형식의[일본어 능력시험 Can-Do리스트(가칭)를 제공합니다. 이 리스트에는 합격자의 일본어 능력을 [듣기, 읽기, 쓰기, 말하기]의 4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 운용 능력에 대한 평가가 기술되어 있습니다. 이와 같은 영역별 운용 능력에 대한 평가를 참고로, 합격자 본인은 물론 타인 또한 수험자의 시험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.
그 밖의 변경 사항
- 시험시간 단축(新JLPT 문제 구성 및 평가지준 참조)
- 과락제도의 도입(과목별 최저 기준점수 2010년 발표 예정)
- 과목구분 변경(변경 전:<문자/어휘><청해><문법/독해>=>변경 후 <언어지식(문자/어휘/문법)><독해><청해>)
- 새로운 시험 문제 구성(문장조합 유형, 종합이해,비교분석 문제, 정보 검색, 즉시 응답 문제등을 도입)
기존시험(1984~2009년) | 新시험(2010년~) | |
---|---|---|
실시횟수 |
년 1회 |
년 2회(7월:N1~N3, 12월:N1~N5) |
급수/레벨 |
1급~4급(4단계) |
N1~N5(5단계) |
과목구분변경 |
<문자/어휘><청해><문법/독해> |
<언어지식(문자/어휘/문법)><독해><청해> |
출제기준 |
어휘, 한자, 문법 항목 리스트를 게재한 출제기준 출판 |
출제기준은 출판하지 않으나, 시험의 구성과 문제의 목표, 시험 문제의 예 등을 제공 |
시험문제 |
전년도 시험문제를 다음해 4월에 출판 |
실제로 출제된 시험문제 중 시험 1회분의 문제 수에 상당하는 문제 예집을 일정기간마다 발행 |
합격기준 |
1급: 280/400점(70%) 2급~4급: 240/400점(60%) 의 종합득점의 득점률로 판정 |
실종합득점과 과목 별 득점의 두 가지로 판정, 종합 득점과 과목 별 득점에 관한 합격 기준점을 설정, 2010년에 발표예정 |